[디지털 임상] 기성 Abutment를 사용한 임플란트 Bridge 제작
상태바
[디지털 임상] 기성 Abutment를 사용한 임플란트 Bridge 제작
  • 이훈재 원장(이다듬 치과)
  • 승인 2018.08.08 13: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훈재 원장의 디지털 임상⑤

과거에 비해 치과 임상에서 디지털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모든 치과 영역에서 디지털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디지털 장비의 가격이 만만치 않고 어떤 장비를 선택해야 할지도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다듬치과 이훈재 원장과 함께하는 ‘디지털 임상’ 코너를 마련했다. 임상 외에 디지털 장비의 구입과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서도 향후 차례대로 언급할 예정이다.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선택해야 하는 것은 보철물의 형태이다. 보철물의 형태는 Cement type, Screw type, 그리고 SCRP type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기성 Abutmen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ement type과 SCRP type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Cement type 임플란트 보철은 식립한 임플란트의 방향이 좋지 않은 경우와 전치부 임플란트의 경우에 심미적인 이유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주위 조직 하부로 Cement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나사 풀림에 대해서도 접근성이 어렵다. SCRP type 임플란트 보철은 Screw type과 Cement type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형태로 심미적이지 않은 부위에 사용이 가능하다.
임상에서 기성 Abutment의 사용은 치은의 높이에 맞춰 선택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의 식립 방향이 일정하다면, Bridge 제작도 할 수 있다. 그 중에 가장 큰 장점은 Chair side에서 바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택한 기성 Abutment는 변형시키지 않게 적당한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Temporary restoration을 제작해서 사용한 후에 Abutment를 최종 인상 채득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면 된다.
조직이 치유되면서 최종 인상 시에 Abutment의 마진이 치은 연하로 위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마진을 노출시키려고 Gingival cord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상 채득 후에 마진이 정확히 보이지 않아도 정확한 보철 마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Abutment를 스캔하고 최종 모형 스캔 데이터에 매칭 과정을 거쳐서 정확한 마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기성 Abutment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상을 채득하였다.
▲ 제작된 보철물을 구강 내에서 Setting하는 과정이다.
▲ 치은 연하 부위에 Cement가 깊게 위치해 있어서 구강 내에서 제거하기가 어렵다. Cement type의 단점이 이것이다.
▲ 장기간 사용한 임플란트 보철물로, 치주조직은 건강해 보인다.
▲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해 보면 치은 부위에 염증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임플란트 보철물의 치은 연하 부위에 치석이 Abutment에 붙어 있다. Cement type에서는 청소하기가 어렵다.
▲ 임플란트 치료계획을 가진 환자의 초진 방사선 사진이다.
▲ 치료계획에 따라 임플란트 수술을 하고 난 후의 방사선 사진이다.
▲ 상악 우측부위에 3개의 임플란트를 넣었고, 기성 Abutment를 연결하였다.
▲ 임플란트 식립 방향이 일정할 경우에 기성 Abutment를 변형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 Temporary restoration을 제작하여, 점진적인 부하를 가하도록 한다.
▲ 치주조직이 치유되면서, 처음에 설정한 마진이 치은 연하로 위치 될 수도 있다.
▲ 기존의 방식으로 인상 채득을 하였고, 작업모형을 제작하였다.
▲ 마진 부위가 정확하게 나오는 것이 좋으나 명확하지 않다면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 마진이 명확하면 디자인을 바로 진행할 수 있다.
▲ 작업모형을 스캔한 데이터로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부위의 임플란트에 기성 Abutment 마진이 명확하지 않다.
▲ 구강 내에 연결되어 있는 기성 Abutment와 같은 것을 스캔하였다.
▲ 기성 Abutment를 스캔한 데이터(화살표)를 작업모형을 스캔한 데이터에 매칭시킨다.
▲ 매칭된 기성 Abutment 데이터의 모습이다.
▲ 하부에서 본 모습으로, 스캔한 기성 Abutment의 마진 부위를 볼 수 있다.
▲ 완성된 임플란트 보철물의 모습이다.
▲ 마진 부위의 모습으로, Customized abutment를 사용할 때보다 Emergency profile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 완성된 Zirconia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면 모습.
▲ 하부 마진 부위의 모습.
▲ 구강 내에 장착한 모습으로, 구치의 협설 폭을 소구치 정도에 맞춰 제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인접면은 Interproximal brush로 청소가 가능하도록 공간을 부여하였다.
▲ 기성 Abutment를 사용해서 보철제작을 할 경우에는 공간의 크기, 보철물의 Emergency profile, 마진의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