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임상] SureSmile Aligner를 이용한 성인 TMD 환자의 치료
상태바
[교정 임상] SureSmile Aligner를 이용한 성인 TMD 환자의 치료
  • 박서정 원장(트리 베일러치과)
  • 승인 2019.11.04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서정 원장(트리 베일러치과)
전 산업분야에 걸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치과영역 역시 디지털에 기반한 새로운 임상 패러다임이 대거 형성됐다. 특히, 교정 분야에서의 디지털화는 더욱 빨라져,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술식들이 등장하며 격변의 새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본지는 덴츠플라이-시로나社(구, 오라메트릭스)의 교정 시스템을 중심으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교정 패러다임을 짚어보기로 했다. 본 연재는 슈어스마일(구, 엘레메트릭스)의 패컬티인 박서정 원장(트리 베일러 치과)을 중심으로 슈어스마일올쏘(구, 엘레메트릭스)의 유저인 여러 원장들이 함께 이끌어 갈 예정이다.
이번호는 박서정 원장이 그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였다.
 
TMD를 가진 성인 환자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Premature contact과 비대칭적인 교합이 TMD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있다. 특히 치아 우식률이 낮고 구강관리가 잘 되는 환자에서 다수의 심한 치경부 마모가 있는 성인 환자라면 TMD의 원인을 구강 내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스캔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지털 모델을 제작하면 다양한 각도에서 환자의 교합 상태를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조기 접촉이 있는 부위나 비대칭 교합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해 환자와 충분히 소통을 하면서 투명 교정을 시작하면 의외로 환자의 만족도는 상당히 높다.
45세 여성 환자로 턱관절 부위의 통증, Habitual Clenching, 두통, 특히 아침 기상 직후 턱의 뻐근한 통증이 심함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상하악 전치부의 심한 총생과 좌측 전치부위의 절단교합 등이 있었다.(Fig. 1)
환자의 포토를 비롯한 엑스레이 등의 2차원 데이터와 함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슈어스마일에 업로드하고 DIY 진단 모델을 주문하여 2일 만에 받았다.(Fig. 2)
여러 각도에서 디지털 교합지 기능과 절단면 기능을 이용하여 어디에 조기 접촉점이 있는지 양측의 교합 상태가 조화로운지를 평가하였다.(Fig. 3) #34, #37 부위에 Heavy contact이 보였고 양측 구치부의 Overjet 양을 비롯해 교합점이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조기 접촉점을 없애고 양측 교합을 비슷하게 맞추며, 뚜렷하게 마모도가 다른 견치 및 구치 등은 개별적으로 Shaping을 하는 등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맞춰 DIY 디지털 셋업모델을 완성하였다.(Fig. 4)
‘Creating stage sequence’ 기능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단계가 디자인 되고 아울러 치아의 이동량에 따라 자동으로 어태치먼트도 디자인된다.(Fig. 5)
단계별 치아 이동을 ‘미리보기’하면서 단계를 합하거나 나누거나 또는 좀 더 효과적인 치아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단계를 수정하였다.(Fig. 6, QRcode 참조) 이 환자에서는 프로그램 상에서 자동으로 어태치먼트가 디자인되었지만, 실제 치료에서는 어태치먼트 없이 정밀한 제어를 바탕으로 한 치료를 함께 챌린지해 보기로 결정했다.
▶치료 과정 영상으로 확인하기 
 
환자의 Biologic adaptation을 보기 위해 첫 장치는 2개만 먼저 제공하였고, 이후 불편감이나 통증이 없어 3단계를 건너뛰고 4단계로 바로 진행하는 방법도 썼다. 4월에 장기 해외여행을 다녀온 환자가 장치를 잃어버려 10, 11, 12단계를 한 번 더 제작해 제공한 것 외에는 치료가 원활하게 잘 진행되었다.(Fig. 7) 더군다나, 치료가 진행되면서 환자의 두통, 뻐근한 턱의 통증 등이 사라지게 되자 환자의 협조도는 최상이었다.
치료 전부터 치료 후까지 변화를 단계별로 촬영한 사진과 단계별 디지털 모델을 비교해본 것이 (Fig. 8)과 (Fig. 9)이다. 실제로 환자가 내원할 때마다 기준이 되는 치아를 정하고 기준치아를 바탕으로 치아의 이동 상태를 정밀하게 비교해보면서 실제로 지연되는 치아 이동은 없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투명교정 장치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이 지연되는 치아에 Bump를 주거나 또는 슈어스마일의 Displacment box에 Overcorrective number를 기입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 바로 이 부분에 ‘빠르고 쉬운 정밀한 제어’가 극대화되는 슈어스마일의 장점이 있다.
환자의 치료 전과 치료 후를 비교해 보면(Fig. 10-A, 10-B) 계획했던 대로 환자의 Bite가 열렸고 조기접촉이 해결되면서 환자 스스로 안정된 교합위를 찾아가게 되어, 환자의 구강 내 변화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이 달라졌음을 함께 느낄 수 있었던 아주 행복한 경험이었다.
교정치료로 TMD가 유발되거나 또는 확실하게 치료된다는 것에는 여전히 상반된 견해들이 존재하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알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Non-invasive한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치아 이동을 계획하고 Balanced Occlusion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면 교정 치료 전 CR과 CO를 일치시키려는 Splint의 사용이 없이도 환자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여러 번 경험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