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임상] 이훈재 원장의 디지털 임상31 디지털 인상(Scanning)
상태바
[디지털 임상] 이훈재 원장의 디지털 임상31 디지털 인상(Scanning)
  • 이훈재 원장
  • 승인 2020.12.02 1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거에 비해 치과 임상에서 디지털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모든 치과 영역에서 디지털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디지털 장비의 가격이 만만치 않고 어떤 장비를 선택해야 할지도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다듬치과 이훈재 원장과 함께하는 ‘디지털 임상’ 코너를 마련했다. 임상 외에 디지털 장비의 구입과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서도 향후 차례대로 언급할 예정이다. 

디지털 인상(Scanning)을 실리콘 인상 후 모델 제작과 비교해 볼 때, 어느 방법이 지대치에 대한 정보가 정확한가에 대한 논쟁은 디지털 임상의 초기에서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인상이 어느 정도 정확한가에 대한 문제에 앞서, 반복 스캔한 데이터가 일정하다는 것은 장점이 될 수 있다. 실리콘 인상 채득과 모델 제작은 디지털 인상에 비해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되기 때문인데, 실리콘인상을 채득하면 경화 후에 재료의 수축이 오며, 석고를 붓게 되면 석고의 팽창이 오게 된다. 또한 실내의 온도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서 모형의 변형에서 오는 에러가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데이터를 얻거나 모델을 제작하지 않고 보철물을 제작할 때는 디지털 인상이 더욱 유리한 면이 있으며 앞으로 점점 더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발전이 계속될 것이다.

이번에 소개할 케이스는 전치부 크라운 제작을 하기로 계획하였으며 치아삭제 후에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3D Printer를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적합도와 형태를 수정하여 치료를 마무리하였다. 
 

그림 1. 초진 시, 구강 내 모습. 하악 전치부에 spacing이 보이며 상악 전치에 크라운이 되어 있다. 
그림 1. 초진 시, 구강 내 모습. 하악 전치부에 spacing이 보이며 상악 전치에 크라운이 되어 있다. 
그림 2. 우측면의 모습. 
그림 2. 우측면의 모습. 
그림 3. 좌측면의 모습.
그림 3. 좌측면의 모습.
그림 4. 상악 전치 크라운은 환자가 초등학생일 때 제작한 것으로 성인이 되어 내원하였다.
그림 4. 상악 전치 크라운은 환자가 초등학생일 때 제작한 것으로 성인이 되어 내원하였다.
그림 5. 입술이 relax 된 상태에서 중절치의 모습.
그림 5. 입술이 relax 된 상태에서 중절치의 모습.
그림 6. 측면에서 본 모습.
그림 6. 측면에서 본 모습.
그림 7. 상악 #11치아의 절단부는 레진으로 filling 되어 있다.
그림 7. 상악 #11치아의 절단부는 레진으로 filling 되어 있다.
그림 8. 상악 교합면의 모습.
그림 8. 상악 교합면의 모습.
그림 9. 하악 교합면의 모습.
그림 9. 하악 교합면의 모습.
그림 10. 하악 전치부는 부분교정을 시행하였고 상악 양측 중절치는 크라운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그림 10. 하악 전치부는 부분교정을 시행하였고 상악 양측 중절치는 크라운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그림 11. 교합면에서 본 모습.
그림 11. 교합면에서 본 모습.
그림 12. 치아삭제를 시행하였다.
그림 12. 치아삭제를 시행하였다.
그림 13. 마진의 위치는 치은의 level에 맞춰서 형성하였다.
그림 13. 마진의 위치는 치은의 level에 맞춰서 형성하였다.
그림 14. #11 치아도 치아삭제를 하였다.
그림 14. #11 치아도 치아삭제를 하였다.
그림 15. 교합면에서 본 모습.
그림 15. 교합면에서 본 모습.
그림 16. 지대치를 스캔한 모습이다. 치아삭제 마진을 치은 연하로 깊게 형성하게 되면 gingival fluid로 인해서 스캔의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마진의 위치설정이 중요하다.
그림 16. 지대치를 스캔한 모습이다. 치아삭제 마진을 치은 연하로 깊게 형성하게 되면 gingival fluid로 인해서 스캔의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마진의 위치설정이 중요하다.
그림 17. 대합치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구강 내에서 교합지로 교합을 확인해서 스캔 데이터의 정확성을 비교해 볼 수 있다.
그림 17. 대합치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구강 내에서 교합지로 교합을 확인해서 스캔 데이터의 정확성을 비교해 볼 수 있다.
그림 18. 스캔 데이터에 마진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모델이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림 18. 스캔 데이터에 마진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모델이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림 19. 크라운의 형태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림 19. 크라운의 형태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림 20. 정면에서 본 형태를 완성한 모습.
그림 20. 정면에서 본 형태를 완성한 모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