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임상
상태바
약물 임상
  • 덴포라인
  • 승인 2010.09.08 14: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과영역의 대체약물특집 3

 

 

이번 호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대체의학에 적용되는 대체요법제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대체의학에 적용되는 대체요법제의 유형

병력검사를 통하여 치과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질병을 알아내는 것과 같이 전신질환의 다양한 징후나 증상도 밝혀질 수 있다. 병력검사에서 중요한 부분은 환자의 치료습관에 대한 정보를 끌어내는 것이다.
앞으로의 모든 병력검사용 서식은 특히 환자가 대체적이거나 천연적인 치료 약제를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을 반드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만약 치과 환자가 대체약물을 이용하고 있다면, 치과의사는 그 대체약물의 정체 및 1회 복용량, 그리고 그것이 특정한 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전신건강의 개선이나 기력회복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 알아보아야 한다.

표 3. 각종 구강용품에 함유된 약용식물의 특성 2(지난 호에 이어서)

 위와 같은 다양한 천연약물들이 잠재적으로 치과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1회 복용량이 소량이고 환자가 충분히 건강하며 치과질환의 진행단계가 대수롭지 않은 상태일 경우라면 대체약물과 치과질환의 진행사이에 특별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
그리고 치과의사에 의해서 대체약물요법이 오히려 권장될 수도 있는데 이때는 활용할 대체약물요법의 효과와 목적을 분명하게 환자에게 알린 다음 환자의 동의를 얻고 나서 요법을 시작해야 한다.
대체요법을 사용하고자 하는 치과의사는 목표가 된 구강악안면 영역의 질환에 대한 대증적 약물요법을 시행하면서 사용약물의 용량을 줄이거나 장기요법 시, 또는 환자의 전신건강 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 일정한 효력을 나타내는 대체약물이나 한약재와의 병용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다음부터는 지금까지 밝혀진 효능에 따라 대체약물 혹은 한약재들의 종류를 분류해보고자 한다.

1) 항균요법제

 명백한 세균감염이 있으나 환자의 전신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충분 량의 항생물질이나 화학 요법제를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용량을 감소시켜야할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에 항균효과가 있는 대체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항균작용을 보유하는 다음과 같은 대체약물들을 항생제나 화학요법제와 병용함으로써 이러한 약물들의 용량감소 또는 장기요법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예시하는 항균성 한약재들의 항균작용은 대체적으로 미약하다.
만일 구강악안면 부위의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체요법제만을 단독으로 사용한다면 약효가 매우 불충분할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은 한약재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반드시 항생물질이나 화학요법제의 부차적 요법으로 적용해야만 한다.

ㆍ 黃連(황련) : Coptis chinensis
ㆍ 馬威連(마위련) : Thalictrum glandulissimum
ㆍ 黃柏(황백) : Phellodendron chinense
ㆍ 黃芩(황금) : Scutellaria baicalensis
ㆍ 小檗根(소벽근, 삼과침) : Berberis soulieana
ㆍ 金銀花(금은화) : Lonicera japonica
ㆍ 連翹(연교) : Forsythia suspensa
ㆍ 穿心蓮(천심연) : Andrographis paniculata
ㆍ 蒲公英(포공영) : Taraxacum mongolicum
ㆍ 千里光(천리광) : Senecio scandens
ㆍ 虎杖(호장) : Polygonum cuspidatum
ㆍ 魚腥草(어성초) : Houttuynia cordata
ㆍ 鴨草(압척초) : Commelina communis
ㆍ 膽汁(담즙) : Bile Concentrate
ㆍ 大蒜(대산) : Allium sativum
ㆍ 鐵?菜(철현채) : Acalypha australis
ㆍ 地錦草(지금초) : Euphorbia hemifusa
ㆍ 了哥王(요가왕) : Wikstroemia indica
ㆍ 馬齒?(마치현) : Portulaca oleracea
ㆍ 委陵菜(위릉채) : Potentilla chinensis
ㆍ 錦?龍(금정룡) : Physalis alkekengi
ㆍ 山豆根(산두근, 광두근) : Sophora subprostrata
ㆍ 大靑葉(대청엽) : Isatis indigotica
ㆍ 板藍根(판람근) : Isatis tinctoria
ㆍ 空心蓮子草(공심연자초) : Alternanthera philoxeroides
ㆍ 秦皮(진피) : Fraxinus rhynchophlla
ㆍ 牧丹皮(목단피) : Paeonia suffruticosa
ㆍ 水紅草(수홍초) : Polygonum orientale
ㆍ 白鮮皮(백선피) : Dictamnus dasycarpus
ㆍ 鹿御草(녹어초, 녹제초) : Pyrola decorata
ㆍ 龍葵(용규) : Solanum nigrum
ㆍ 紅藤(홍등) : Sargentodoxa cuneata
ㆍ 海金沙藤(해금사등) : Lygodium japonicum
ㆍ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 Hedyotis diffusa
ㆍ 敗醬草(패장초) : Patrinia scabiosaefolia
ㆍ 射干(사간) : Belamcanda chinensis
ㆍ 白?(백렴) : Ampelopsis japonica
ㆍ 苦蔘(고삼) : Sophora flavescens
ㆍ 赤芍(적작, 적작약) : Paeonia veitchii
ㆍ 梔子(치자) : Gardenia jasminoides
ㆍ 夏枯草(하고초) : Prunella vulgaris

2)진통요법제

 동통이 만성적이고 완만하게 오래 지속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대체약물들은 일반적인 소염진통제에 비해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비율이 낮으므로 의학적인 대증요법제와의 병용요법이 가능하다.
그리고 만성 염증성 질환이나 재발성 질환에서 진통제나 소염진통제의 용량을 줄일 목적으로도 다음과 같은 한약재를 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에 열거하는 대체약물들은 항 염증작용이나 진통작용의 발현속도가 늦고 병원에서 처방되는 진통제나 진통소염제들과 병용으로 인한 약효상승작용도 미미한 편이다.
그러나 과다한 소염진통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아래와 같은 한방제제들과의 혼용으로 약효상승을 보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ㆍ 延胡索(연호색, 현호색) : Corydalis turischaninovii
ㆍ 夏天无(하천무) : Corydalis decumbens
ㆍ 川斷腸草(천단장초) : Corydalis incisa
ㆍ 白屈菜(백굴채) : Chelidonium majus
ㆍ 細辛(세신) : Asarum heterotropoides
ㆍ 草烏(초오) : Aconitum kusnezoffii
ㆍ 淸風藤(청풍등, 청등) : Sinomenium acutum
ㆍ 祖司麻(조사마) : Daphne giraldii
ㆍ 烏藥(오약) : Lindera strychnifolia
ㆍ 沒藥(몰약) : Commiphora myrrha
ㆍ 兩面針(양면침) : Zanthoxylum nitidum
ㆍ 獨活(독활) : Angelica pubescens
ㆍ 五加皮(오가피) : Acanthopanax gracilistylus W.W.Smith
ㆍ 海桐皮(해동피) : Erythrina variegata, E.aborescens
ㆍ ??草(희렴초) : Siegesbeckia orientalis, S.pubesceae
ㆍ 虎骨(호골) : Tiger bone
ㆍ 白花蛇(백화사) : Agkistrodon ocutus

3) 건위소화요법제

 대체의학적인 건위소화 요법으로 위장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 위산중화제나 위산분비억제제 또는 소화효소제 등을 투여하면서 위장기능 강화작용이나 소화촉진 작용이 있는 한약재와 병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항생물질의 사용으로 장내세균총의 교란이 일어나서 설사가 유발되었을 때 지사작용이 있는 한약재를 응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위산과다나 속 쓰림에 제산제 또는 위산분비억제제와 병용요법이 가능한 건위소화 한약재 등으로 구별된다.

(1) 건위 및 구풍작용을 하는 한약재

ㆍ 龍膽(용담) : Gentiana manshurica
ㆍ 枳殼(지각) : Citrus aurantium
ㆍ 厚朴(후박) : Magnolia officinalis
ㆍ 薄荷(박하) : Mentha haplocalyx
ㆍ 八角茴香(팔각회향) : Illicium verum
ㆍ 辛夷花(신이화) : Magnolia liliflora
ㆍ 檀香(단향) : Santalum album
ㆍ 小茴香(소회향) : Foeniculum vulgare
ㆍ 陳皮(진피) : Citrus reticulata Blanco
ㆍ 生薑(생강) : Zingiber officinale Rose
ㆍ 豆?(두구, 초두구) : Alpinia katsumadii Hayata
ㆍ 木香(목향) : Aucklandia lappa Decne.
ㆍ 蒼朮(창출) : Atractylodes lancea or A.chinensis
ㆍ 藿香(곽향) : Pogostemon cablin Benth
ㆍ 佩蘭(패란) : Eupayorium odoratum
ㆍ 草果(초과) : Amomum tsaoko
ㆍ 砂仁(사인) : Amomum villosum or A.longiligulare
ㆍ ?撥(필발) : Piper longum
ㆍ 高良薑(고량강) : Alpinia officinarum
 
(2) 소화촉진작용을 하는 한약재

ㆍ 麥芽(맥아) : Hordeum vulgare
ㆍ 丁香(정향) : Eugenia caryophyllata
ㆍ 辣蓼(랄료) : Polygonum hydropiper
ㆍ 娑羅子(사라자) : Aesculus chinensis 
ㆍ 山査(산사) : Crataegus pinnatifida Major
ㆍ 鷄內金(계내금) : Gallus gallus domesticus Brisson

(3) 지사제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재

ㆍ 五倍子(오배자) : Rhus chinensis
ㆍ 地楡(지유) : Sanguisorba officinalis
ㆍ 枸梅(구매) : Myrica rubra
ㆍ 椿皮(춘피) : Ailanthus altissima
ㆍ 番石榴(번석류) : Psidium guajava
ㆍ 川槿皮(천근피, 목근피) : Hibiscus syriacus
ㆍ 赤石脂(적석지) : Halloysium rubrum
ㆍ 肉荳(육두구) : Myristica fragrans Houtt.
ㆍ 訶子(가자) : Terminalia chebula Retz.
ㆍ 金櫻子(금앵자): Rosa laevigata
ㆍ ?實(검실) : Euryala ferox seed
ㆍ 烏梅(오매) : Prunus mume Sieb.et Zucc.
ㆍ 白果(백과, 은행) : Ginkgo biloba L.

(4) 제산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재들

위산과다나 위궤양에 대증요법제들과 병용할 수 있는 제산기능이 있는 대체약물들은 다음과 같다. 특히 H₂Receptor 차단제(위산분비억제제)와 병용 시 위궤양의 회복에 도움을 준다.
ㆍ 海??(해표초, 오적골) : Sepia esculenta
ㆍ 瓦楞子(와릉자) : Arca subcrenata
ㆍ 牡蠣(모려) : Ostrea gigas


생강(ginger) :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구토·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