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임상] 임플란트에 연결하는 티타늄 망(SMARTbuilder™, Os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주변 골결손의 재생(2)
상태바
[임플란트 임상] 임플란트에 연결하는 티타늄 망(SMARTbuilder™, Os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주변 골결손의 재생(2)
  • 정겨운(이화여대부속 목동병원 조교수)·박창주(한양대병원 조교수)
  • 승인 2014.08.05 14: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겨운(이화여대부속 목동병원 치과 치주과 임상조교수)·박창주(한양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조교수)


정겨운 이화여대부속 목동병원 치과 치주과 임상조교수
2007.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2011. 한양대학교병원 치과 인턴 및 치주과 레지던트
2012. 한양대학교병원 치과 치주과 전임의
2013. 한양대학교병원(구리) 치과 치주과 임상강사

박창주 한양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조교수
1999.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2003.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인턴 및 구강악안면외과 레지던트
2005.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전임의
2006. 박사후연구원, Department of Neurology,
Harvard Medical School and Children’s Hospital
Boston, MA


증례별 고찰
단일 치아 결손 증례 - 5번 환자

여자 64세 환자로 특별한 전신질환은 없었다. 상악 우측 제2소구치의 치주질환으로 인한 발치 후 4개월 정도 치유기간을 가진 후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상당 시간의 치유기간을 가졌음에도 술 전 촬영된 치근단방사선사진 상 골치유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관찰된다(Figs.10-12).
1차 수술 시 예상대로 골치유는 충분하지 않았고 단계적인 임플란트 드릴링 후 TS III CA Ø 4.0 X 10 mm (Osstem)를 15 Ncm의 초기 고정력으로 식립했으나 다수의 임플란트 나사산이 노출되는 협측 열개형 골결손이 발생하였다(Fig. 13).
주변 골수천공(bone m arrow o pening)을 시행하고(Fig.14), 주변에서 AutoBone C ollector (Osstem)를 이용하여 채취한 자가골과 동종골(SureOss FDBA, HansBiomed)을 부피 비율 1 : 1로 혼합하여 이식하였다. 임플란트 픽스쳐에 Height (Anchor)Ø 4.0 X 1 mm를 장착하고 그 위에 SMARTbuilder™ Type I (Proximal (P): 4 mm, B uccal width (BW) 8 mm, Buccal length (BL) 7 mm)을 위치시켜 골이식재를 감싼 후 Healing abutment Ø 4.0 X 10 mm로 고정하고 봉합을 시행하였다(Figs. 15-17).
4개월의 치유기간을 가진 후 r e-entry 수술을 시행하였다(Fig. 18). 일반적으로 SMARTbuilder™는 절개를 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절개로 쉽게 제거할 수 있지만 본 증례에서는 bone core biopsy를 채취하기 위하여 작은 근심면 이완절개를 시행하였고 임상적으로 경미한 치조정 골흡수가 관찰되지만 만족스러운 협측 골재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9). Healing abutment Ø 4.5 X 3 mm를 장착하고 봉합을 완료하였다(Fig. 20).
Re-entry 수술 후 2개월이 경과한 후(즉 식립 후 6개월 후) 통상적인 인상과정과 보철과정을 진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2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별다른 합병증 없이 잘 기능하고 있다(Figs. 21-23). 방사선학적으로도 임플란트 주변의 심한 치조골 흡수가 관찰되지 않았다(Fig. 24).
 


Figure 10. 술 전 치근단방사선사진
Figure 11. 술 전 임상사진(교합면)
Figure 12. 술 전 임상사진(협면)

 

Figure 13. 임플란트 드릴링 완료 후 임상사진
Figure 14. 임플란트 식립 후 임상사진. 협측 열개형 골결손이 관찰된다
Figure 15. 골이식 후 SMARTbuilder™ Type I, Height, 그리고 Healing abutment가 장착된 임상사진

Figure 16. 봉합이 완료된 임상사진
Figure 17. 수술 직후 치근단방사선사진
Figure 18. 술 후 4개월이 경과된 임상사진

다수 치아 결손 증례 - 9번 환자
여자 58세 환자로 조절되는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 저작 시 하악 우측 구치부 보철물의 통증으로 보철물을 제거하고 하악 우측 제2소구치는 계속 사용하고, 하악 우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치료를 계획하였다(Figs. 25-26). 특히 하악 우측 제2대구치는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을 시도하였다(Fig. 27).
전층판막을 거상하고(Fig. 28) 단계적인 임플란트 드릴링 후(Fig. 29), TS III CA Ø 4.5 X 8.5 mm (Osstem) 두 개를 20 Ncm의 초기고정력으로 식립한 후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부위의 임플란트에서는 협측 열개형 골결손이, 하악 우측 제2대구치 부위의 임플란트에서는 발치와 안쪽으로 큰 골결손이 발생하였다(Figs. 30-31). 주변 골수천공을 시행하고 하악지에서 AutoBone Collector를 이용하여 채취한 자가골과 동종골을 부피 비율 1 : 1로 혼합하여 이식하였다(Fig. 32). 각각의 임플란트 픽스쳐에 Height Ø 4.0 X 1 mm를 장착하고 그 위에 SMARTbuilder™ Type I (P: 4 mm, BW 10 mm, BL 7 mm,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부위)과 Type II (P: 7 mm, BW 9 mm, BL 7 mm, 하악 우측 제2대구치 부위)을 위치시켜 골이식재를 감싼 후 Healing abutment Ø 4.0 X 8 mm로 고정하고 봉합을 시행하였다(Figs. 33-35).
Re-entry 수술 후 2개월이 경과한 후 임플란트 주변 치은의 정상적인 치유가 관찰된다(Fig. 40). 통상적인 인상과정과 보철과정을 진행하였으며 임플란트 식립 후 2년이 경과한 지금까지 별다른 합병증 없이 잘 기능하고 있다(Figs. 41-42). 방사선학적으로도 임플란트 주변의 치조정의 안정적인 수준이 관찰된다(Fig. 43).
 


Figure 19. Re-entry 시의 임상사진
Figure 20. Re-entry 후 healing abutment를 바꾸어 넣고 봉합이 완료된 임상사진
Figure 21. Re-entry 후 2개월이 경과된 임상사진

 

Figure 22. 보철지대주가 장착된 임상사진
Figure 23. 최종보철물이 장착된 임상사진
Figure 24. 최종 보철물 장착 2년 후 치근단방사선사진
 


Figure 25. 술 전 치근단방사선사진
Figure 26. 술 전 임상사진
Figure 27. 하악 우측 제2대구치 발거 후 임상사진
Figure 28. 전층판막 거상 후 임상사진
Figure 29. 임플란트 드릴링 후 임상사진.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부위의 열개형 골결손과 제2대구치 부위의 발치와 주변 골결손이 관찰된다
Figure 30.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임상사진. 양호한 임플란트 식립 깊이와 방향을 보여 준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 직후 발생한 임플란트 주위 골결손 부위에 자가골과 동종골을 복합적으로 이식하는 골유도재생술 시, 미리 성형되고(pre-formed) 개인화된(customized) 삼차원적(3-dimensional) 티타늄 망인 SMARTbuilder™을 임플란트에 연결하고 차폐막으로 적용하여 임상적으로 성공적인 골재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MARTbuilder™는 자르고 구부리며 고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임플란트 픽스쳐 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날카롭고 돌출된 부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티타늄 망의 노출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혹 노출되더라도 큰 합병증 없이 조직학적으로 만족스러운 골재생이 일어났으며 티타늄 망 하방으로 얇은 결합조직의 부착으로 SMARTbuilder™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임플란트 주위 골결손의 수평적, 수직적 골유도재생술을 위한 차폐막으로서 SMARTbuilder™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31. 임플란트 마운트를 제거한 임상사진
Figure 32. 골이식을 완료한 직후의 임상사진
Figure 33. 골이식 후 SMARTbuilder™ Type I & II, Height, 그리고 Healing abutment가 장착된 임상사진
Figure 34. 봉합이 완료된 임상사진
Figure 35. 수술 직후 치근단방사선사진
Figure 36. 술후 4개월이 경과된 임상사진
Figure 37. Re-entry 시의 임상사진. 최소 절개 하에 큐렛으로 SMARTbuilder™를 당겨서 제거하고 있다
Figure 38. Re-entry 후 healing abutment를 바꾸어 넣고 봉합이 완료된 임상사진
Figure 39. Re-entry 직후의 치근단방사선사진

 

 

 

 


Figure 40. Re-entry 후 2개월이 경과된 임상사진
Figure 41. 보철지대주가 장착된 기공모형사진
Figure 42. 최종보철물이 장착된 임상사진
Figure 43. 최종 보철물 장착 2년 후 치근단방사선사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