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임상] EFR(Easy Fixture Removal) kit를 이용한 골유착된 임플란트의 제거 증례
상태바
[임플란트 임상] EFR(Easy Fixture Removal) kit를 이용한 골유착된 임플란트의 제거 증례
  • 조용석 원장(앞선치과병원)
  • 승인 2014.12.29 1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용석 원장(앞선치과병원)

EFR (Easy Fixture Removal) kit를 이용한 골유착된 임플란트의 제거 증례
 

 

 

 

 

 

 


임상에서의 실패로 인하여 부득이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 상황에 따라 몇 가지 방법을 쓸 수 있다. 임플란트의 동요도가 있는 경우라면 간단히 제거가 가능하겠지만 동요도가 없다면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보고 제거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먼저 임플란트의 식립 시기가 6개월 이내이고 보철물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았다면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사용했던 도구들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Internal fixture의 경우 Fixture mount를 연결해서 제거하는 것보다는 fixture driver를 연결하여 제거하는 것을 추천한다.
좀 더 어렵기는 하겠지만 식립 후 6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난 경우도 하중을 가하지 않았거나, 상악과 같이 골질이 약한 경우, 직경이 가늘거나 길이가 짧은 경우, 그리고 임플란트의 표면에 따라서 동일한 방법을 우선 시도해 볼 수 있다. 이런 방법이 여의치 않을 경우나 임플란트 식립 1년 이상이 지나고 보철물 하중도 가해진 경우는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한다. 과거에는 Trephine bur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Fixture 내부에 파절된 나사가 존재하고 이를 제거할 수 없다면 부득이 이 방법을 써야 하겠지만 trephine technique은 시술의 난이도가 높고 하치조 신경 손상 등의 위험이 따르며 제거 후에는 임플란트 주변의 골 손실이 많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비침습적으로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하기 위한 도구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현재 몇 개 회사의 제품이 상용화되어 있다. 최근 오스템 社에서 개발된 EFR kit(Easy Fixture Removal kit)도 이러한 용도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기본 구성품은 제거할 임플란트에 연결되는 Remover screws, 이를 연결할 때 필요한 S crew d river, Remover screw에 연결하여 임플란트와 일체를 이루어 fixture를 제거할 때 사용되는 R emover b ody, Remover s crew나 Remover body에 적당한 Torque(최대 400Ncm)를 제공해 주는 Torque wrench, 그리고 제거된 임플란트를 제거용 기구들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하는 Fixture wrench로 되어있다(그림 1, 2, 3).

 

 

 

 

 

 

 

 

 

Remover screws는 제거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종류와 직경 그리고 임플란트 상부의 상태에 따라 일반 모드 혹은 파절 모드 중 적당한 것으로 선택하면 된다. Screw drive와 Remover body는 mini용, regular용, 그리고 wide용 3가지가 있어서 경우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또한 EFR kit는 오스템 社의 임플란트와 일부 호환되는 타사 제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표 1).
 

EFR kit를 이용하여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한 증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 1
41세 여자 환자로 5개월 2주 전 하악 좌측 제1대구치부에 식립한 임플란트를 제거하기 위해 내원하였다. 1년 6개월 전에도 동일한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었는데 식립 후 다양한 신경증상을 호소하여 곧바로 제거하였고 치유를 기다린 후 짧은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나 동일한 증상을 호소하였다. 방사선 상에는 하악 신경관과 상당한 거리에 임플란트가 심겨졌지만 환자는 좌측 우각부와 협부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healing abutment에 접촉 시 발작성 통증을 호소하였다. 원인이 불명하였지만 달리 처리 방법이 없어서 일단 임플란트를 제거하기로 하였다. 임플란트는 오스템 社의 TSIII SA 4.5x7.0mm였다(그림 4~16).
 

증례2
30세 여자 환자로 7년 전에 식립한 상악 좌측 제1중절치의 심미적 문제와 동요도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플란트 크라운의 형태와 색조가 조화가 되지 않았고 순측 연조직 및 경조직의 결손이 관찰되었다. 방사선 사진 상에서 골유착이 잘 된 임플란트에 연결된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이 관찰되었다. 환자에게 기존의 보철물만 제거하고 다시 보철물을 제작하면서 연조직 이식을 통하여 심미적 개선을 시도하는 방법과, 기존의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다소 순측으로 식립된 임플란트를 더 좋은 위치에 식립하여 연조직 및 경조직 이식을 하는 것에 대한 장단점을 설명하였다. 환자는 결혼을 앞두고 있었고 나이가 젊고 심미적 요구도가 높아서 보다 완전한 방법을 선택하기 원해 후자의 방법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식립하고 하중을 가한지 오래되었기에 제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Trephine bur를 사용 시 얼마 남지 않은 주변 골조직의 소실이 우려되어 먼저 EFR kit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인 임플란트 제거를 시도해 보기로 했다. 식립된 임플란트는 덴티스 社의 4.1x13.0mm 임플란트로 보였는데 이는 EFR kit와 호환성이 있었다(그림 17~29).
 

결론
EFR kit는 골유착이 완전히 이루어진 임플란트의 경우에도 주변 조직의 손상 없이 간단히 제거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