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 CT)을 이용한 case 분석
상태바
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 CT)을 이용한 case 분석
  • 류지헌 기자
  • 승인 2006.01.06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Dental CT 박종찬 원장 임사원고

 


 

박 종 찬
평촌예치과병원 원장
(031)440-8278
drroot@hanmail.net

 

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 CT)을 이용한 case 분석

 CT의 발명과 발전은 의학 영상체계에는 혁명이었다. CT는 인접 해부구조로부터 흐려지는 구조에 의해 악영향 받지 않는 단층이 존재하는 전산화, 수치화된 영상이다. 덧붙여,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 CT는 연조직, 경조직 모두를 분별화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처음에 의학용으로 이용 되였을 때는 방사선 전문의들은 조영제 주입 같은 invasive한 시술을 환자들에게 실시하지 않고 경조직, 연조직상을 관찰하였다. CT scanner는 1970년대 중반에 의학용 영상부분에 출연하였으며 1980년까지 전반적으로 복합 단층촬영을 성공적으로 대체시켰다. 평촌예치과병원에서 사용하는 CT장비는 국내 바텍제품으로 현재는 Implagraphy란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DCT로 교환을 하려고 한다. Implagraphy는 세계 최초로 디지털파노라마, 디지털 세팔로, 그리고 CT 의 결합을 구현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 장비의 특징은 CT와 파노라마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 이중의 비용 지출이 없고, 기존 X-ray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실용성이 뛰어난 장비라 할 수 있다.
DCT(전산화 단층 엑스선 촬영장치)는 일반 CT와는 달리 별도의 방사선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차세대 방식인 5세대 Cone Beam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Flat Panel Sensor를 장착하여 화질과 안정성을 보장받는 장비라 할 수 있다.
Implagraphy를 이용하여 진단 및 시술에 응용한 증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런 장비를 이용할 때의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는데, 다음과 같이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골밀도를 미리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직

Hounsfield units

 

밀도

Hounsfield units

공기

근육

섬유조직

연골

소주골

피질골

상아질

법랑질

-1000

0

35-70

60-90

80-130

150-900

900-1800

1600-2400

2500-3000

 

D1

D2

D3

D4

D5

 

≧1250

850-1250

350-850

150-350

<150

 

 

또한 골이식을 한부위의 잔존골의 골폭이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가 있다.  

                                                          
<그림 1-A>                                   <그림 1-B>              

 

 

 

 

<그림 1-C>                                   <그림 1-D>

다음의 실패증례에서는 임플란트를 재식립하고 자가골과 Biocera를 이용하여 double layer technique를 시행한 case가 되겠다.
재식한 후 약 4개월정도 지나서 이식한 부위에 신생골이 잘 형성 되였는지를 CT상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그림 2-A>                                   <그림 2-B>              

 

 

 

 

<그림 2-C>                                   <그림 2-D>

 

 

 

<그림 2-E>                                   <그림 2-F>

 

 

 

 

<그림 2-G>                                   <그림 2-H>

다음의 증례에서는 loading을 가한 후 임플란트주변의 골반응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림 3-A>                                    <그림 3-B>

 

 

 

 

<그림 3-C>                                   <그림 3-D>

 

 

 

 

<그림 3-H>


 

 

 

<그림 4-A>                                    <그림 4-B>

 

 

 

 

<그림 4-C>                                  <그림 4-D>

 

 

 

 

<그림 4-E>                                     <그림 4-F>
                        

 

 

 

 

 

<그림 4-G>                                   <그림 4-H>

 

 

 

 

 

<그림 5-A>                                    <그림 5-B>

 

 

 

 

<그림 5-C>                                    <그림 5-D>

 

 

 

 

<그림 5-E>                                   <그림 5-F>

 

 

 

<그림 5-G>                                   <그림 5-H>

 

 

 

 

<그림 5-I>                                      <그림 5-J>

 

다음의 증례에서는 상악동내로 골이식 없이 OSFE 방법으로만 Bicortical fixation을 시행한 경우이다.

 

 

 

 

<그림 6-A>                                     <그림 6-B>

 

 

 

 

<그림 6-C>                                    <그림 6-D>

 

 

 

 

<그림 6-E>                                    <그림 6-F>

 

 

 

 

<그림 6-G>                                   <그림 6-H>

 

 

 

 

<그림 6-I>                                    <그림 6-J>

 

 

 


<그림 6-K>                                   <그림 6-L>

 

 

 


<그림 6-M>             

 

 

 

 

<그림 7-A>                                    <그림 7-B>

 

 


 


<그림 7-C>                                   <그림 7-D>

 

 

 

 

<그림 7-E>                                   <그림 7-F>

 

 

 

 

<그림 7-G>                                   <그림 7-H>

 

 

 

 

<그림 7-I>                                     <그림 7-J>

 

 

 


<그림 7-K>                                    <그림 7-L>

 

 

 

 

<그림 7-M>                                   <그림 7-N>

 

 

 

 

<그림 7-O>                                   <그림 7-P>

 

 

 

 

<그림 7-Q>

이상의 몇몇 증례를 통해서 CT는 평면상으로 밖에 판독할 수 없는 기존의 파노라마사진상의 단점을 cross sectional view를 통해서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