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임상] Osstem TS III HA 임플란트
상태바
[임플란트 임상] Osstem TS III HA 임플란트
  • 류재청 기자
  • 승인 2016.11.05 1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가지 코팅 방법의 비교
▲ 김영균 교수

김영균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졸업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전공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 석사 및 박사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전임강사, 조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과장
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
의학한림원 정회원

 

 

 

I. 서론
1981년 Branemark에 의해 치과 임플란트 치료가 시작된 이래로 보다 빠르고 안정적 골융합을 얻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어왔다. 임플란트 표면을 골유사 성분인 수산화인회석으로 코팅하는 것 또한 초기에 시도 되었지만 수술 후 수산화인회석이 용해되는 현상, 임플란트-수산화인회석간 계면 결합 실패 현상, 임플란트 주위염에 취약하다는 점 등이 부각되어 시장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수산화인회석 코팅이 골유합과 골생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살리고자하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특히 나쁜 골질의 환자, 임플란트 치료기간 단축, 수술법의 간소화와 같은 요구는 계속 되었고 수산화인회석 코팅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해결책으로 관심 받아왔다. 이후 임플란트와 수산화인회석간 계면의 결합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균일한 코팅을 가능하게 하는 공정의 발전으로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임플란트를 생산하는 회사에 따라 고유의 코팅 공정을 가지고 있는데 Zimmer사(Zimmer Dental, Carlsbad, CA, USA)의 일종의 hydrothermal post-plasma spray라 할 수 있는 MP-1이 좋은 예다. 골유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본체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crystalline HA함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기에 수산화인회석 코팅 임플란트를 생산하는 회사들은 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제품을 발전시키고 있다.
2010년 오스템임플란트에서 개발된 TS Ⅲ HA 임플란트는 상부의 일부(2㎜)는 RBM 표면이고 나머지는 열 프라즈마 방식으로 HA 코팅 처리한 hybrid type을 채택하고 있다. 코팅 두께는 20~70㎛, 표면 거칠기는 Ra=3.0~3.5㎛이며 XRD 및 EDS 분석을 시행한 결과 Ca/P ratio는 1.76이고 결정화 정도는 98%라고 오스템연구소 자체 실험을 통해 발표되었다. 최근엔 임플란트 표면 전체를 HA 코팅 처리한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세균 침투 및 골 흡수가 발생하여 임플란트의 거친 표면이 노출될 경우 임플란트 주위염이 급격히 진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HA 코팅은 불량한 골질에서 높은 임플란트 생존율을 보여주었으나 장기적인 예후와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대한 영향에 관해서는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필자는 중등도의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HA 코팅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공률을 분석하고 2가지 코팅방법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반응을 분석하여 전부-HA 코팅 임플란트(fully HA-coated implant)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총 75명의 환자들이 임상연구에 지원하였으며 11명은 연구 조건에 부합되지 않아 제외되었다. 최종 64명이 무작위 임상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2가지 그룹(Group I : 부분 HA 코팅, Group Ⅱ : 전부 HA 코팅)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대상의 조건은 Table 1, 2와 같다.

 

▲ Table 1.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for patient selection.

 

▲ Table 2. CDC-AAP case definition of periodontitis(2007).

2. 임플란트 수술 및 보철

(1) 임플란트 식립 수술

▲ Fig. 1. Osstem TS Ⅲ HA implant.A : 부분 HA 코팅 임플란트(Hybrid HA coating implant)B : 전부 HA 코팅 임플란트

통법에 따른 구강 및 안면 소독과 국소마취를 시행한 후 제조사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식립하였다. [Group I]은 오스템임플란트의 부분 HA 코팅 임플란트, [Group Ⅱ]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전부 HA 코팅 임플란트를 식립하며 직경은 치조능의 폭경을 고려하여 4.5, 5㎜를 식립하였다. 임플란트 길이는 8.5, 10㎜를 사용하였다(Fig. 1). 식립 직후 오스텔 멘토를 이용하여 초기 안정도(ISQ)를 측정하였다. 수술 직후 파노라마 및 치근단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식립 당시 치조정접근법을 통한 상악동거상술과 소규모 골유도재생술은 허용되었다.

 

(2) 이차수술 및 보철 치료

①상악 : 2개월 후 2차 수술 → 2.5개월 후 인상채득 → 3개월 후 최종 보철물 장착

②하악 : 4주 후 2차 수술 → 5주 후 인상채득 → 6주 후 최종 보철물 장착

(3) 보철물 장착 후 경과관찰

최종 보철물 장착 직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3개월 간격으로 유지관리를 시행하면서 치근단방사선 사진을 통한 변연골 흡수량 및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 인덱스를 측정하였다.

64명의 환자들 중 임상 시험 도중에 11명이 동의를 철회하였고 2명은 연락이 두절되어 53명의 환자(71개 임플란트, group I : 36, group Ⅱ : 35)에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이 시행되었다. 연구 기간 중에 9명의 환자, 9개의 임플란트가 연구대상에서 제외 되었다(ISQ 50 미만 6개, 상악동점막천공 1개, 매우 불량한 골질 1개, 비특이성 통증 1개). 최종적으로 group Ⅰ은 21명, 30개 임플란트, group Ⅱ는 23명의환자, 32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분석이 시행되었다.

 

Ⅲ. 연구 결과

총 44명의 환자들에게 식립된 62개 임플란트 : group I(21 patients, 30 implants [maxilla: 15, mandible: 15]), group Ⅱ(23 patients, 32 implants [maxilla: 19, mandible: 13])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관찰기간은 20.2 + 6.5개월이었다. 임플란트 초기 및 2차고정 값은 Group I, 73.1±10.2, 75.4±7.8, Group Ⅱ, 69.5±9.2, 73.4±7.0였다. 전부 HA코팅 임플란트들은 관찰 기간 중에 주위 점막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Table 3).

▲ Table 3: Comparison of soft tissue indices

 

임플란트 주위의 변연골 소실량을 비교한 결과 부분 HA코팅 임플란트 0.33±0.35㎜, 전부 HA코팅 임플란트 0.33±0.54㎜로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찰 기간 중에 소실된 임플란트는 없었으나(생존율 100%) 보철 기능 1년 이내에 1㎜ 이상의 변연골 소실을 보인 증례들은 부분 HA코팅 2개, 전부 HA코팅 2개로서 성공률은 group I : 93.3%, group Ⅱ : 93.8%였다. 임플란트 치료와 관련된 환자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증례들에서 VAS>7의 우수한 만족도를 보였다(Table 4).

▲ Table 4: Patient inquiry

 

 

Ⅳ. 결론

중등도 만성치주염을 보유한 환자들에서 식립된 부분 HA코팅과 전부 HA코팅 임플란트의 임상 성적은 모두 우수하였으며 임플란트 성공률, 변연골 흡수,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위험성 측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골 유착을 촉진시키면서 치유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전부 HA 코팅 임플란트는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Ⅴ. Case report

1) 65세 여자 환자에서 #46 발치 후 부분 HA 코팅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한 증례.

 

▲ A: 초진 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36, 46 발치 후 #46 부위에는 부분 HA 코팅 임플란트, #36 부위에는 전부 HA 코팅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로 계획하였다.B: #46 발치 후 즉시 부분 HA 코팅 임플란트(직경 5㎜, 길이 10㎜)를 식립한 모습. 오스텔멘토로 측정한 임플란트 초기 안정도는 77.5 ISQ였다.

 

▲ C: 주변 결손부에 동종골(ICB)을 이식한 모습.D: 상방에 흡수성 차폐막(Megaderm)을 피개한 모습.
▲ E: 임플란트 식립 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F: 4주 후 2차 수술을 시행하는 모습. 오스텔멘토로 측정한 이차 안정도는 77.5 ISQ였다.
▲ G: 상부 보철물 장착 직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 임플란트 식립 6주 후에 최종 보철물이 장착되었다.H: 최종 보철물 장착 1년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

 

2) 65세 여자 환자에서 #36 발치 후 전부 HA 코팅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한 증례.

▲ A: #36 발치 후 구강 사진.B: 발치 후 즉시 전부 HA 코팅 임플란트(직경 5㎜, 길이 10㎜)를 식립한 모습. 오스텔멘토로 측정한 초기 안정도는 평균 65.5 ISQ였다.
▲ C: 임플란트 주변 결손부에 골이식(AutoBT)을 시행한 모습.D: 흡수성 차폐막(Megaderm)을 피개한 모습.
▲ E: 임플란트 식립 4주 후 2차수술을 시행하는 모습. 오스텔멘토로 측정한 2차 안정도는 64.8 ISQ였다.F: 2차 수술 직후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 G: 상부 보철물 장착 직후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임플란트 식립 6주 후 최종 보철물이 장착되었다.H: 최종 보철물 장착 1년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