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증 및 금기증 I
상태바
적응증 및 금기증 I
  • 승인 2006.01.12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응증 및 금기증 I

Dental Implant란 치아가 빠진 부분에 특수한 금속(주로 타이타늄이나 타이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턱뼈에 이식하여 뼈와 직접 결합하게 하여 고정시킨 후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제작된 보철물로 수복해 줌으로써, 자연치아와 같은 역할과 기능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시술 방법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외과적 시술을 요하는 보철분야로 치료 옵션이 다양하여 치료계획이 복잡하며 적응증이 넓고 modification이 많아 경험이 요구되며, implant system이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특징들이 있다.


● 임플란트 치료의 적응증
임플란트 치료는 기본적으로 연령이나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거의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젊은 층의 경우 성장기에 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매입된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처럼 악골의 성장발육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 ‘임상응용의 결과 신장의 성장이 크면 임플란트는 저위교합을 나타낸다’ 등의 이유로 성장기에 있는 젊은 층에의 적용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사춘기를 지나 성장발육이 종료한 사람에게는 결손부의 조치에 대한 선택사항이 되기도 한다.
임플란트 치료는 다음과 같이 전신적 및 국소적인 조건을 지닌 증례가 적용의 대상이 된다.

1. 전신적 조건
구강외과적인 소수술(발치 등) 이상의 관혈(觀血) 조치가 가능한 전신상태를 지닌 환자

2. 국소적 조건
구강점막이나 악골에 병변이 없고 임플란트를 매입하기에 가능한 골량, 개구량, 대합치와의 공간이 5mm 이상으로 충분한 경우가 전제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증례가 적용증이 된다.
a. 유상의치의 부담역(負擔域) 형상이 열악하고 의치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증례.
b. 유상의치의 장착으로 동통(疼痛)이 인정되는 증례
c. 유상의치의 장착으로 강한 구토반사를 일으키는 증례
d. 소수치 결손 증례로서 건전한 인접치의 삭제를 피하고 싶은 증례
e. 정신적으로 유상의치의 장착이 곤란한 증례

● 임플란트 치료의 금기증
         
1. 금기증
절대적 금기증
a. 혈액 질환 : 대부분이 금기증으로 원인이 확실한 빈혈 등은 치료를 받고 상태가 개선되면 임플란트가 가능하다.
b. 면역부전
c.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d. 정신신경증 : 정신분열증, 편집증, 약물중독 환자, 알콜의존증, 이상성격, 불구(不具) 공포증, 히스테리, 치매 환자 등

상대적 금기증
a. 성장기 환자
b. 구강 내 연조직 및 경조직의 병소
c. 구강 내 감염성 질환
d. 뼈의 양이나 질이 불량한 경우

사회적 금기증
a. 경제적 부족
b. 임플란트에 대한 불안과 불신

● 임플란트 치료의 적응 주의 증례
이는 전신질환에 관계된 경우와 국소적인 문제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전신검사 · 진단이 관계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설명하겠다.

1. 전신질환과 관계된 주의 증례
전신질환을 지닌 환자에게 임플란트 치료를 하는 경우의 주의사항을 설명하겠지만 이는 통상적인 구강외과적인 조치와 동일하다.

1) 순환기계통 질환
a. 심기능 상태(심부전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New York Heart Association에 의한 기능 분류(표 1)에서 class Ⅰ, Ⅱ인 경우는 임프란트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마취나 수술에 의한 스트레스, 감염성 심내막염, 항응고제 투여에 따른 출혈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심내막염 (心內膜炎, endocarditis)  

심내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군의 총칭. 세균성(감염성) 심내막염과 비세균성 심내막염의 2가지로 크게 구별하는데 둘 다 심장판막이 침해되는 수가 많다. 세균성 심내막염은 상기도염(上氣道炎)이나 발치(拔齒) 등의 원인으로 혈액 속에 세균이 침입하여 심내막 특히 판막에 감염소(感染巢)가 형성됨으로써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한 사람도 치과 치료나 수술을 받을 경우 순간순간 세균이 혈액 속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곧 걸러지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비정상적인 심장 판막 조직이나 인공 심장 판막 또는 기타 심장 구조에 이상이 있을 경우 혈액이 지나가면서 와류가 생길 수 있으며, 이때 세균이 이상조직 부위에 들어붙어 세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심장 조직에 자리잡은 세균은 세균집단을 이루어 지속적인 세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해로운 혈전(핏덩이)이 생기지 않도록 도와준다. 혈전은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다 작은 혈관을 막아 버릴수도 있다. 예를 들어 뇌혈관을 막게되면 뇌졸증이 된다. 항응고제인 쿠마딘은 와파린으로도 불리며, 혈전이 생기기 쉬운 질환, 예를 들면, 인공 판막치환술을 받으셨거나, 관상동맥질환, 뇌졸증, 심방세동,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근경색 등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이런 임상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용량 조절이 어렵고, 심각한 출혈 부작용, 약효를 짐작하기 어렵게 만드는 많은 상호작용이 있어 더욱 주의를 요하는 약이다.  

표 1. New York Heart Association의 심기능 분류

Class Ⅰ

일상생활에 제한이 없고 운동을 해도 호흡곤란, 피로 , 심계항진의 증상이 없다

Ⅱ도Class Ⅱ

일산생활에 제한이 있고, 가벼운 운동에서는 자각증상이 없지만 격한 운동에서는 증상이 표출된다.

Ⅲ도Class Ⅲ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있고 가벼운 운동에서도 증상이 표출된다.

Ⅳ도Class Ⅳ1

일상생활 자체가 고통을 수반하고 안정 시에도 증상이 있다.

b. 허혈성 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협심증에 대해서는 최근 1~2개월간 발작이 없었는지, 만약 있다고 해도 경도(輕度)(1~2회/일)라면 임플란트 치료가 가능하지만 발작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면 피하는 것이 좋다. 심근경색은 발작 후 6개월 이상 경과하고 다른 문제가 없으면 가능하다. 어떤 경우든 수술에 앞서 주치의와의 상담과 전신관리가 필요하다.

협심증 (狹心症, angina pectoris)

전흉부(前胸部)에 발작적으로 조이는 듯한 압박감이 주증상으로 일어나는 증후군. 관상동맥에 의하여 경화 등 관상동맥의 혈류 부족으로 심근의 산소 결핍에 따른 일과성(一過性) 심근허혈(心筋虛血)시 일어난다. 서양인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한국에서도 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50대∼60대에서 잘 걸리며,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다.


심근경색증 (心筋梗塞症,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에 의한 심근으로의 산소(혈액)의 수요·공급이 불균형하여 산소부족상태(冠不全)가 지속된 결과, 심근세포에 비가역성 변화(심근괴사)가 일어나서 심근의 수축기능이 장애를 받는 질환. 원인은 주로 관상동맥의 경화성 협착 병변을 기반으로 하고 혈전형성(血栓形成)과 동맥의 연축(攣縮)이 더해져서 관상혈류가 두절되는 데 있다.

c. 고혈압
고혈압 환자에게 임플란트 치료를 적응하려면 고혈압이 충분히 조절되는 경우만 가능하다. 고혈압이 조절되더라도 합병증의 종류, 중증도, 치료법에 대해서는 주치의와 상담을 거쳐 충분하게 파악한 후에 치료를 시행한다.

고혈압

혈압이란 글자그대로 혈관, 특히 동맥내의 압력을 말한다. 이 혈압은 심장에서 밀어내는 혈액량이 많을수록 동맥의 직경이 작을수록 상승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혈압 = 혈액량 X 1 / 동맥의 직경

결과적으로 이 두가지 요소에 많은 변수들이 작용하여 혈압을 결정한다.

정상 혈압은 수축가 혈압은 140mmHg, 이완기 혈압은 90mmHg 이하로 잡는데,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 동맥이 받는 가장 높은 혈압을 말하며,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다음번 수축을 위해 폐로 부터 산소를 가득 포함하고 있는 피를 다시 심장 속으로 빨아들이는 심장의 이완기 압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이완기 혈압이란 심장의 수축과 수축 사이의 휴식기 혈압이라 생각하면 된다. 고혈압이라 함은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으로 지속되는 질환을 말하며, 이완기 혈압이 90-104일 때를 경증 고혈압, 105-110일 때를 중증도 고혈압, 110 이상 일때를 중증(혹은 고도) 고혈압이라고 분류한다.  고혈압은 대부분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다. 원인을 알 수 있는 경우 전체 고혈압 환자의 10%도 되지 않는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고혈압을 본태성 고혈압(또는 일차성 고혈압), 원인을 뚜렷이 알 수 있는 경우를 이차적 고혈압이라고 한다. 혈압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유전적 성향이 많아 대부분의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가족에는 고혈압 환자가 많다. 그 밖에 본태성 고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조급한 성격, 비만, 많은 염분 섭취, 정신적 스트레스, 흡연, 음주 등이 있으며,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으로는 신장의 질환, 갈색 세포종, 경구 피임약의 사용, 원발성 고알도스테롤혈증 등이 있다.

고혈압은 합병증이 없는 한 대부분이 증상이 없기 때문에 우연히 혈압 측정으로 고혈압을 발견할 때가 많은데 그 때문에 고혈압을 침묵의 살인자(Silint Killer)라고 한다. 간혹 적은 사람에게서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증상은 두통, 현기증이 가장 많고, 그 외 전신피로감, 불면, 시력장애, 코피, 실신 등이 있다.


고혈압을 예방하여 건강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7가지 생활 수칙
1.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읍시다.
2. 살이 찌지 않도록 알맞은 체중을 유지합시다.
3.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시다.
4. 담배는 끊고 술은 삼가합시다.
5. 지방질을 줄이고 야채를 많이 섭취합시다.
6.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합시다.
7.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의 진찰을 받읍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