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의치 치과 기공 과정에 관한 고찰
상태바
총의치 치과 기공 과정에 관한 고찰
  • 승인 2006.04.27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의치 치과 기공 과정에 관한 고찰
- 치아배열과 Festooning (Ⅵ) -

최석순신구대학 치기공과 교수 (sschoi@shingu-c.ac.kr), 이성구경빈 치과기공 소장 (goodsong@hananet.com)

지난호에 게제된 상악 전치부와 하악 견치, 하악 구치부 배열에 이어 상악 구치부와 하악 전치부의 치아 배열과 Festooning을 알아본다.

상악 구치부의 배열
하악구치의 배열이 끝나면 상악구치를 배열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저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 상악 제1 대구치를 먼저 배열하게 된다(그림 1).
지난 호에 소개한 바와 같이 하악구치부를 Neutral Zone에 맞추고 만곡판의 평균 교합평면에 배열하였기에 하악 구치에 맞추어 배열해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이 시점에서 주의 할 것은 하악 제1대구치 Centric부에 상악 제1대구치 Centric부위를 정확하게 배열(그림 2)했는가와 이에 따른 ABC Contact이 정확히 부여됐는가를 확인(그림 3)해야 하는데 각 회사 Resin치의 Contact 부위가 약간씩 다르므로 각각의 Resin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또 기초상 부위의 인공치 배열부위를 반투명한 Base Plate Wax로 처리했으므로 치조제 정상선과 발치와를 인기한 선이 보이는 곳에 배열한 대구치부와 위치관계가 적정한지  확인(그림 4)해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는 수정해야 한다.
상악대구치 배열이 끝나면 상악소구치를 배열하는데 상악 제1소구치는 협·설의 축이 반대편 상악 제1대구치 근심설측 교두를 향하도록 배열해야 하고, 상악 제2소구치는 협·설의 축 연장선이 반대측 상악 제1대구치의 원심설측교두 혹은 상악 제2대구치의 근심설측교두를 향하도록 배열해야한다(그림 5, 6). 특히 상악 제1소구치는 기능교두를 정확히 맞추어 배열하는 것보다 상악 제1소구치의 근심 협측경사면과 하악 제1소구치의 원심협측 경사면이 원활히 Guiding 되도록 배열해야 한다. 소구치는 2교두로서 인공치의 교두각이 대체로 커 교합점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치열과 유도면을 우선해야한다.

하악 전치부의 배열
상악 인공치 배열이 끝나면 배열한 Arch의 오차가 쉽게 보이므로 치열을 수정한 후 하악 전치부 배열에 들어가게 된다. 하악 중절치의 축은 과두와 직각으로 위치되도록 배열하는데, 이것은 모형상에서 보아 직각이 아닌 순측으로 경사진 형태가 될 것이며 또한 적절한 Over Bite와 Over Jet을 부여하는데 여기에서는 약간의 개성배열을 해도 무관하다. 그 후 측방운동을 시켜 하악 견치의 축을 바꾸며 Group Function Guidance를 부여해 배열을 종료한다.
이 시점에서는 교합조정을 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교합채득관계에 약간의 오차가 있다면 교합조정을 위해 삭제한 Resin치를 다시 배열해 또다시 삭제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커지는 삭제량에 의한 인공치의 경도 및 교두 경사각의 변화로 정확한 Balance Occlusion을 얻을 수 없으며, 추후 치은형성 및 시적에 따른 온도차로 Wax 체적이 변화해 교합위 변형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Festooning
의치의 안정에는 많은 요소가 작용하지만 최근에는 Denture Space의 역할 강조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 System에서는 혀와 입술 그리고 볼을 동시에 Impression하여 석고 Core를 제작했기 때문에 그 석고 Core를 이용해 치은형성을 하게 된다. 3개로 나누어진 석고 Core를 각각 원래 위치에 고정시킨 후 Wax를 넣은 후 형성하므로 아주 쉽게 Denture Space를 재현할 수 있다.
전치부에서는 심미성을 고려해 통상 S자 Curve를 부여하는데 S자 Curve 역시 석고 Core에 맞게 부여한다(그림 7, 8). 구치부 협측면은 청결성과 Denture Space의 회복을 위해 S자 Couve를 부여하지 않는다(그림 9∼12). Mac Gregor의 연구에 따르면 구치부에서 S자 Curve를 형성하지 않았을 때 음식물이 정체하지 않는다고 하며 협근 수축을 고려했을 때 근에 의한 유지성이 좋은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구치부에 S자 Curve를 부여하지 않는 편이 유리하다고 한다. 설측면은 Tongue Space의 회복과 연하 및 발음 관계를 고려해 형성하며(그림 13, 14) 상하악의 Wax Denture를 완성한다(그림 15, 1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