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 III Implant with bone graft
상태바
TS III Implant with bone graft
  • 덴포라인
  • 승인 2011.08.11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LA 표면 처리는 국내 및 전 세계에서도 현재는 많이 시행되고 있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같은 SLA라고 하더라도 똑같지 않다.
예를 들어 etching을 하기 전의 단계인 blasting 에서는 blasting의 입자의 종류 및 크기, 분사 압력 및 거리가 다르고 분사하는 입자를 얼마나 회사에서 recycling 해서 쓰는가에 따라서 천차만별의 surface가 얻어지게 된다.
Etching 단계에 들어가서는 용액의 종류 및 온도, 시간, 중탕의 정도, stirring, 중화제 및 passivation을 위한 질산염의 여부 및 blasting 입자의 제거 정도 등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morphology와 특성을 가진 surface가 탄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RB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조 공정이 까다롭고 시간과 비용이 드는 공정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일단 RBM으로 표면을 시작한 다음에 천천히 시장의 반응을 보면서 SLA로 바꾸는 경향이 있다고 할 것이다.

SLA는 접촉각이 139.9°도 RBM 44±10°에 비하여 소수성이다. 따라서 SLA는 RBM에 비하여 osteogenic lineage cell의 uptake는 적을지 모르나, 받아들인 세포의 척박한 환경에서의 differentiation&proliferation은 유의성 있게 뛰어나서 osseointegration performance는 RBM에 비하여 20% 정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템에서 출시되고 있는 TS III SA 임플란트는 이런 SLA의 장점을 십분 이해하고 만들어진 표면으로 생각된다. 특히 delayed approach 후에 식립되는 임플란트로 매우 훌륭한 clinical performance를 보인다.
그러나 imultaneous approach 시 bone defect morphology를 보면서 blood clot을 잘 유지할 수 있는 경우 무리 없이 심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즉, dehiscence defect 중 1-wall defect나 또는 vertical augmentation을 요하는 0-wall defect의 경우에는 space maintaing을 매우 잘해야 하며, 안전하게는 delayed approach를 권한다. 

5. 16개의 치아가 없는 환자의 케이스다. 전치부에 식립된 4개의 임플란트는 치조골이 얇아서 thread가 치은을 통하여 비쳐 보이고 있었다.

 6. 이 환자분은 16개의 치아가 없는 환자분으로서 의뢰 받은 환자이다. 전치부에 식립된 4개의 임플란트는 치조골이 얇아서 thread가 치은을 통하여 비쳐 보이고 있었다.

8. 이미 식립된 4개의 임플란트 부위에는 vertical incision을 통하여 골이식과 collagen membrane을 이용하여 GBR을 시행했다. 

10. 하악에는 동종골 block bone을 이용하여 골 이식하였는데, 우측에는 membrane을 하지 않았고, 좌측에는 Ossix Plus를 이용하여 피개했다. 상악의 우측에는 동종골과 합성골을 8:2의 비율로 하여 titanium mesh를 이용하여 약 5mm 정도의 수직적 골이식과 약 3mm 정도의 수평적 골이식을 했다. 상악 좌측에는 상악동 거상술 후에 동종골과 합성골을 이용하여 cytoplast Titanium Reinforced membrane을 이용하여 약 2 mm 정도의 수평적 골이식을 행했다. 


12. 상악의 우측에는 동종골과 합성골을 8:2의 비율로 하여 titanium mesh를 이용한 후의 모습이다.


14. 하악 우측에 membrane을 하지 않고, 동종골 block bone 골이식을 한 후의 모습이다.


16. 상악 좌측에는 상악동 거상술 후에 동종골과 합성골을 이용하여 cytoplast Titanium Reinforced membrane을 이용한 후의 모습이다.


18. 하악에 동종골 block bone을 이용하여 골 이식과 Ossix Plus를 이용한 후의 모습이다.


20. 약 5개월 후에 re-entry하여 titanium mesh와 cytoplast membrane, GBR screw 등을 제거하고 TS III 임플란트를 2회법으로 식립했다.
약 2개월이 지난 후에 2차 수술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곳에는 apically positioned flap과 free gingival graft를 행하여 vestibular depth와 keratinized gingiva를 확보했다.

 

22. 약 3개월간의 provisional restoration을 거친 후에 최종 인상을 채득하고 보철물을 완성하였다. 임시 치아 사진과 loading 후 약 1년이 경과한 후의 방사선 사진이다. 안정적인 marginal bone response를 보여준다.

Case 2

26. 이 환자는 상악 우측 제2소구치의 발거 후에 TS III SA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하면서 GBR을 행한 환자이다. Titanium pin을 이용하여 GBR을 시행하였고, 약 5개월 후에 provisional restoration을 시행하고 최종적으로 8개월 후에 final restoration을 제작했다. 

28. 최종 보철물 장착 후 약 1년이 지난 후의 사진으로, 안정적인 marginal bone response를 보인다. titanium pin은 제거를 하지 않았다.   

Case 3

31.32 상악 제 2 소구치는 발치 즉시 식립하였고, 제1대구치 부위는 healed ridge였다. 발치를 하면서 얻은 자가골과 합성골을 흡수성 cytoplast membrane과 bone tag를 이용하여 GBR 하면서 두 개의 TS III 임플란트를 1회법으로 식립했다. 약 4개월 후에 provisional restoration을 한 후 최종적으로 6개월 후에 final restoration을 제작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