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요법 중인 환자의 치과치료 ④
상태바
항암요법 중인 환자의 치과치료 ④
  • 덴포라인
  • 승인 2012.01.11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 항암화학요법

6) 항암성 항생물질
(2) Doxorubicin

항암화학요법의 구강후유증
1. 직접적 효과
   1) 점막염(Mocositis)
   2) 구강건조증(Xerostomia)
   3) 치수장애(Neurotoxity of pulpal tissue)
2. 간접적 효과
   1) 국소감염(Local infection)
    ① 세균성 감염(Bacterial infection)
     치성감염(Odontogenic infection)
     연조직 감염(Soft tissue infection)
     괴사성 궤양성 치은염(Necrotizing ulcerative gingivitis)
     타액선 감염(Salivary gland infection)
    ② 진균성 감염(Fungal infection)
    ③ 바이러스 감연(Viral infection)
     단순성 포진(Herpes simplex)
     대상성 포진(Herpes zoster)
   2) 치은 및 점막하 출혈 (Gingival and submucosal hemorrhage
                                                                                                                                                                 Doxorubicin의 작용기전은 DNA와 RNA에 intercalation을 하는 것이며 세균 중 Streomyces peucetius로부터 추출한 항생물질로 세포주기의 S 및 G2기에서 DNA와 결합하여 DNA 의존성 RNA 합성을 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항암제다. 종양세포는 항산화작용을 하는 superoxide dismutase와 glutathion system이 결핍되어 있으므로
doxorubiin에 의해 세포 내에서 oxygen free radical이 생성되어 비가역적인 손상이 유발된다. 위산에 불안정
하고 자극적이라서 정맥주사로만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악성림프종, 급성골수성백혈병, 연조직골육종, 유방암, 폐암, 방광암, 전립선암, 난소암, 갑상선암등에 광범위하게적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심장장애(울혈성 심부전, 부정맥 등) 골수기능저하, 점막염, 구내염, 탈모, 안면홍조등이있다.
 

(3) Bleomycin(Bleonoxane)
Bleomycin은 Streomyces verticellus에서 분리된 glycoprotein의 혼합체다. 정제기술의 발달로 거의  순수한Bleomycin A₂로 제품화되었다. DNA와 결합하여 주로 DNA single strand를 파괴하는 항암제로 피부나 구강점막 등 편평상피조직이나 림프조직, 폐 등에 고농도로 모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구강영역의 상악암, 설암, 설순암, 기타 구강암 치료에 아주 적합하다.
그 외에 피부암, 폐암, 식도암, 악성림프종 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골수 억제작용은 없으나 폐에 대한
독성이 있어서 간질성 폐 섬유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데 방사선치료와 병행하면 그 발생빈도가 더욱
증가한다.
부작용으로 저혈압, 오한, 근육통, 발열, 탈모증, 홍반색소가 침착되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근육 및
정맥(15~30mg), 동맥(5~15mg) 내 주사로 투여한다.

(4) Mitomycin(Mutamycin)
Mitomycin은 천 연 물 질 로 Streomyces caespitosus에서 추출한 항암성 항생물질이다.
작용기전은 Quinone ring이 환원되어 freeradical을 형성하고 aziridine ring과 carbamate group이 guanine ring에 bifunctional alkylator로 작용하는 것이다. 즉 세포 내 reductase에 의해 활성화된 후 알킬화제로 작용하여 DNA합성을 저해하는 항암제로 직장암, 결장암, 위암, 췌장암 등에 유효하나 골수기능저하, 지연성 오심, 구토, 위염, 폐독성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투여경로는 주로정맥 내 주사한다.

(5) Mitoxantrone(DHAD)
Mitoxantrone은 Doxorubicin보다 4배의 효력을 가지는 항암성 항생물질이다. 작용기전은 DNA에
intercalation하는 것이다. 즉 핵산에 결합하여 template를 교란시키고 steric obstruction으로 DNA와 RNA의 합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조직으로 신속히 분포하여 서서히 혈장으로 유리되어 나오므로 신장과 간장에서의 청소율이 낮고 약 37시간으로 반감기가 길다. 사용목적은 주로 진행된 유방암이나 치료 및 수술이 불가능한 원발성 간세포 암의 일시적 완화이다.
부작용으로 조혈계의 골수억제와 오심, 구토, 식욕부진 등 소화가계 이상을 발현한다.

(6) Daunorubicin
작용기전은 DNA와 RNA에 intercalation을 하는 것이다.
종양세포는 항산화작용을 하는 superoxide dismutase와 glutathion system이 결핍되어 있으므로 doxorubicin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Daunorubicin에 의해서도 세포 내에서 oxygen free radical이 생성되어 비가역적인 손상이 유발된다.
Daunorubicin은 간의 aldoketoreductase에 의해 13번 위치의 keton이 환원되어 활성형으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투여 후 수분에서 1시간 안에 활성형의 혈장농도가 원 약물보다 높아지게 된다. 정맥투여 시 신장으로 6시간 내에 13~25%가 배설되고 담즙으로 초기 21시간 내에 20%가 배설된다.
부작용으로 골수억제와 함께 점막염, 구내염, 부정맥, 탈모 등을 일으킨다.

7) 항암목적으로 사용되는 면역조절물질
감염에 대한 우리 몸의 일차적 방어기전은 침입자의 종류를 구별하지 않고 반응하는 비특이적 방어이다. 비특이적 방어기전으로 직접 미생물에 작용하거나 또는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성 단백질인 인터페론과 보체단백질이 있고 간단한 찰과상이나 곤충에 물린 것 같은 물리적인 상처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 역시 중요한 예가 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론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의해 생성되며 다른 세포를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보호해준다.
이러한 후천성 면역계는 이 물질에 대항하는 순환 항체를 생산하여 면역기능을 나타내는 체액성면역
(homoral immune system)과 병원체를 직접 죽이거나 과민반응, 암세포나 이식조직에 대한 거부반응 등에 관여하는 세포성면역(cellular immune system)이 있다. 이 두 가지 면역계는 완전히 독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상호 협력하여 방어기능을 수행하고있다.
면역약리학(principle of immunopharmacology)은 연역반응 조절제로서 약물의 작용을 연구하는 것으로여기에 해당하는약물은면역억제제(immunosuppressive agents)와 면역증강제(immunopotentiating agents)가 있으며 이를 면역조절제(immunomodulating agents)라고도 한다.

항암 면역치료의 개념은 이미 오래 전에 도입되었으나 지금도 매력적인 치료방법으로써 그 가능성이 입증되고 있다. 면역치료로 단크론 항체를 이용해 암세포에서 많이 발현하는 성장인자 수용체를 직접 억제하는 방법과 anti-idiotype 단크론 항체를 이용해 백신효과를 노리는 치료법이 개발 중이다.
새로운 면역치료 방법은 antigen presenting cell을 사용하는 신기술에서 비특이적으로 면역반응이 조절되는 약물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시도되고 있다. 임상실험 중인 새로운 면역치료제로 LMB-9
immunotoxin은 disulfied stabilized recombinant immunotoxin으로 pseudomonas exotoxin과 Lewis Y antigen의truncated form이며 MVFHER-2(628-647)는 chimeric peptide B-cell immunogen이다.
G17DT는 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humangastrin-17단백의 amino-terminal 단백에 diphtheria toxoid를 포함시킨 anti-gastrinimmunotoxin이다.
이와 같이 암세포를 죽이는 바이러스에서부터 시작하여 endothelin 수용체 차단제, 암 억제 유전자인 p53의 발현을 회복시키는 약제, 면역반응 조절 약물에 이르기까지 어느 일정한 그룹으로 분류가 어려운 새로운 기전의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1) 면역부활제

생체 내에서 생산되는 악성종양세포에 대한 특이적 방어물질이 있다면 그것을 체내에서 생산하도록 하거나 체내에 이입하면 항암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면역요법(immunotherapy)이라고 불리는 것인데 그런 물질을 체내에서 생산하도록 하는 것을 능동면역이라 하고 이미 면역기능을 가진 물질을 체내에 이입하는 것을 수동면역요법이라 한다. 여기에는 종양항원 감작림프구나 그 추출물질 등을 투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종양세포에는 약하긴 하지만 정상세포에는 없는 그 종양 특유의 항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항체의 생산능력을 높이거나 혹은 밖으로부터 투여하면 좋을 것이다. 실제로는 종양세포는 면역원성이 결핍되어 있고 또 환자는 면역학적 감시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등의 이유 때문에 좀처럼 면역요법은 그다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암의 면역요법은 대부분이 세망내피계를 자극하여 면역학적 감시기능을 높이는 능동 비특이적 면역요법이다. 이것에 쓰이는 약물을 면역부활제라고 하는데 최근에 이러한 효능을 가진 몇 가지 약물이 개발되어 있다.

A. Pacibanil

화농성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pyogenes)으로부터 얻은 면역부활제로 세균의 추출물에 penicillin을 처리하고 동결 건조한 건조분말로 환자의 면역계 기능을 부활화하여 세포성 면역기능을 높인다.

 

B. Interferon(Lymphokine)

Interferon은 15000~21000dalton 정도의 단백질로 항원특이성과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면역학적으로 α, β, γ-interferon으로 분류한다.

Immunomodulating activity는 대식세포의 phagocytic activity를 유도하여 표적세포에 대한 lympocyte의 특이적인 세포독성을 증강시킨다. 또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한다. 또한 암세포와 같은 세포표면의 특정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활성과 효소유도, 세포증식 등을 억제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적용되는 질환은 CML, hairy cell leukemia, AIDS에 연관된 카포시 육종, 만성간염, 악성 멜라노마, 다발성 골수종 등이다. 부작용으로 조혈계에 대한 억제작용과 함께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현기증, 혼수, 호흡곤란, 기침, 간독성 및 신독성 등을 보인다.

 

(2) 면역억제제

 

A. Cyclosporine A

Cyclosporin은 주로 ‘산디문 뉴오랄’이라 불리는 면역억제제이다. 용량은 25mg, 100mg 등 두 가지가 있다. 이 약물은 혈액검사를 통하여 용량을 조절해가면서 12시간 간격으로 하루 2회로 나누어 투여한다.

Cyclosporin은 곰팡이인 tolypocladium inflatum에서 추출된 1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티드이다. 활발히 분열하는 세포에만 작용하며 휴지기의 세포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Cyclosporine은 암치료 목적뿐만 아니라 장기이식에서 나타나는 거부반응의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인 면역억제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다. 콩팥, 심장, 간장 이식에 다른 면역억제제(주로 부신피질호르몬제)와 병용한다.

이 약물의 장시간 사용으로 치은증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다모증 등의 부작용을 보이며 특히 항 고혈압약인 Ca-channel blocker와 병용하면 Cyclosporin의 부작용인 치은증식(Gingival hyperlasia)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또한 Cyclosporin과 퀴놀론 계의 항균제, 특히 ciprofloxacin과 병용하면 신장독성이 증가하므로 병용금기이다.

그리고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바람직하지 않은 약물상호작용을 나타내므로 가능한 한 병용하지 않도록 한다.

B. Corticosteroids(ACTH; 부신피질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은 장기이식 거부반응의 예방과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단독 혹은 다른 면역억제제와 병용해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prednisone(deltasone)과 prednisolone(hydeltrasol)이 있다.

스테로이드 제제의 대표적인 작용중의 하나인 소염작용은 염증반응의 매개체로 작용하는 Prostaglandins, Thromboxanes, Leukotrienes 등의 합성을 억제해 혈관투과성항진, 발적, 부종, Fibrin 침착, 백혈구의 염증부위 이동 등의 일관된 염증반응을 제어함으로써 나타난다. 또한 임파계의 활성과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면역반응을 억제하므로 염증성 질환이나 알러지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종양성 질환, 편두통 등이다.

이와 같이 스테로이드 제제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간장 또는 신장이식이나 신증후군, 사구체 신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에 주로 사용된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부작용으로 식욕항진, 월상안, 당뇨병, 광과민성, 골다공증, 위장장애등 바람직하지 않은 신체반응들을 유발할 수 있다.

 

▲ 다음 호에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